실내공기질 개선
오늘날 실내오염물질
오늘날 현대인들은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시대에 이르면서 하루 중 80~95%에 이르는 시간을 한정된 실내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이런 실내공간은 1970년대 초반에 일어난 에너지 파동으로 인하여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환기량을 극히 제한하고 외기의 침입을 극소화시킨 밀폐형 구조로 변화되었으며 그 결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도입량이 최소화되었으며 다양한 건축내장재와 사무용장비 재실자의 활동 등에 의하여 끊임없이 오염물질이 발생되고 있어 실내공기질이 점점 악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
실내오염물질 구분
실내의 오염물질은 재실자의 활동과 흡연 연소기구 건축자재 각종 생활용품 등에서 발생하는 분진 환경담배연기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라돈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실내 오염물질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일시적 또는 만성적으로 걸리는 코 눈 목의 건조나 통증 두통 구역질 및 현기증 호흡기 질환에서 심하게는 암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특히 실내오염물질들은 빌딩증후군이나 새집증후군 복합화학물질 과민증의 원인이 되어 인간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며 더 나아가서는 인간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실내공기질 악화 실정
실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수많은 오염물질 중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은 300가지 이상의 물질들이 방출되어 복합적으로 실내에 존재하고 있으며 실외보다 실내가 2~10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공기질이 악화되면서 실내 거주자들은 각종 알레르기 잦은피로감 천식 두통 심리적 불안감 등을 일으키는 빌딩증후군 새집증후군 복합화학물질 과민증에 노출되어 있으며 인간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현재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기적인 방법들이 제시되고있지만 적용 장소가 제한되거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며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오히려 새로운 오염물질을 창출시킨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한편 실내공기질 개선 방법에 이러한 기기적인 방법 외에 생물학적인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오염물질을 감소시키는 연구가 최근 시도되고 있습니다. 식물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작은 가스교환시 기공을 통해서 실내오염물질을 함께 흡수하는 것과 식물의 잎에 의한 흡착과 토양입자 표면 및 토양내 수분에 의한 흡착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단지 식물뿐만 아니라 배양토내 미생물도 실내 공기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식물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제거효과가 서서히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공기 정화 효과뿐만 아니라 실내의 장식효과와 온열환경의 조절로 인한 쾌적한 환경 창출 및 인간을 정서적 또는 심리적으로 안정시켜준다는 이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개선 방법은 정화시간이 오래 걸리며 실내공간과 식물의 도입량 및 녹시율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많은 식물들이 요구되어져야 합니다.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기기적인 방법 보다는 에너지 소비량 폐기물 발생 저비용의 설치비 실내 온열환경의 개선 및 원예치료적 효과 등의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대인들의 실내공기질 관심도 증가
현대인들은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현재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학적인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을 지니고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건축내장재 생활용품 및 사무용품에서 다량 방출되는 제거에는 보스턴 고사리 아이비 벤자민고무나무 드라세나 스파티필름 칼랑코에 포트멈 등이 효과적입니다.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인 방법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인 방법은 석유누출 등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데 이용되어졌습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물 분배지내 미생물도 실내공기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식물은 단지 제거하는 것으로 국한된 것이 아니라 야간에도 효과적으로 일어나므로 식물뿐만 아니라 토양의 흡착성 및 토양미생물이 관여한다고 암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