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연환경에 편안함을 느끼는 인류
오랜 시간 자연환경 속에서 진화해온 인간의 몸은 자연을 접하게 되면 익숙한 공간에 들어간 것 처럼 자연환경에 쉽게 동조되어 쾌적함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인류의 마음속에는 자연에 대한 애정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 마음이 발현되기도 하는데요.자연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역동적인 특성을 지녔으며 그 자체로 심미감과 감각적 즐거움을 줍니다. 자연 속에서 유아는 본성과 원래의 모습이 갖는 가치를 인식하게 되고 자연환경은 감각적 자극의 주된 원천이므로 감각을 이용하여 주변을 탐험하면서 마음껏 놀기도 합니다. 이렇게 탁 트인 자연환경 속에서 놀아야 유아는 건강하게 자랄 수 있고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무한한 능성이 연스럽게 조성됩니다.
자연친화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생태주의교육에서는 자연친화 교육의 방법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생태계의 위기나 지나친 경쟁심과 이기심 개인의 도구화 등이 가져온 비인간적 폐해를 극복하고 인간 상호간에 나아가 인간과 자연 간에 보살핌과 배려를 근간으로 하는 관계망을 형성함으로써 공동체적 삶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따라서 자연친화 교육은 유아의 인성교육과 관련이 있으며 중요한 가치가 있습니다. 자연친화 교육은 모든 자연 생태계와 조화로운 공동체 형성을 위해 인간과 자연환경을 동시에 배려할 수 있는 능력의 기저가 되며 인성교육을 근간으로하기 때문입니다. 인성교육은 어느 시대의 교육에서나 강조되어 왔지만 급변하고 있는 이 시대에는 더욱 더 가치있고 행복한 개인의 삶과 안정적인 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공존적 삶의 태도
5세 누리과정은 전 영역에서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과 태도가 길러지도록 하였습니다. 5세 누리과정의 기본 구성 방향에서는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필요한 타인에 대한 이해 배려 나눔 협력 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내용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연은 조화로운 관점에서 보고 느끼고 이해하여 자연과 사람과의 공유된 삶과 가치를 지닐 수 있도록 배려하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줍니다. 자연친화 교육은 공존적 삶의 태도를 갖는 친환경적 친사회적 태도와 실천능력을 형성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으며 단순한 교육을 넘어서서 인성교육을 근간으로 두고 있습니다.
식물 기르기를 통한 자연친화 교육
자연친화 교육이 가진 생명에 대한 존중이나 그 관계성 그리고 감각적 경험과 일상성과 접근성의 특징들을 인성교육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이미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활동은 식물 기르기입니다. 식물과의 접촉은 편안함과 즐거움을 주며 식물 기르기를 통해 일상적으로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을 직접 경험할 수 있고 가꾸고 보살피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며 식물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되고 생명이 있는 식물과의 교감을 통해 정서적인 풍요를 누릴 수 있습니다. 식물 기르기는 자연과 함께 하는 과정입니다. 즉 식물을 기르려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흙이 있어야 하며 따뜻한 햇볕과 물 적당한 바람도 필요합니다. 또한 실외에서 식물을 기를 경우에는 나비 지렁이 무당벌레 등의 동물과 식물의 생태적 관계성도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식물 기르기를 통해 간접적 양육 경험
또한 식물은 살아있는 생명체로서 유아에게 식물을 기르는 과정은 돌보고 양육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식물은 단순하게 몇 번의 돌봄과 보살핌만으로 자라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주의를 기울이며 살펴보아야 궁극적으로 식물이 필요로 하고 원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식물의 상태에 맞게 돌보고 보살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러한 양육의 경험은 오직 살아 있는 것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으므로 유아에게 식물 기르기는 돌보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수단입니다. 그러므로 유아가 식물을 만나고 돌보고 기르면서 자연을 느끼고는 것은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식물과 맺는 관계를 통해 배려할 수 있는 자연친화 교육은 해당 시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날 유아교육기관의 한계
하지만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식물 기르기는 교사의 계획 하에 교사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일회성으로 끝나거나 생활주제와 연관하여 한시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때문에 식물을 심은 후에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유아들의 흥미도도 감소해 가꾸고 보살피는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흐지부지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물 기르기가 유아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지 못합니다면 과학영역의 한구석을 차지하는 것 이상의 효과는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식물 기르기에 대한 지속적인 전개는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가 중요하며 유아가 식물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교감하는 경험이 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린 인테리어 식물 (0) | 2023.11.13 |
---|---|
유아기 창의적인 활동을 위한 식물 기르기 (0) | 2023.11.11 |
공기정화식물의 실내공기정화에 대하여 (0) | 2023.11.09 |
실내공기질 개선 (0) | 2023.11.08 |
강낭콩 대나무 강아지풀 백합 사과 파헤치기 (0) | 2023.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