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관심도 증가 최근 경제 수준과 생활수준의 향상 더불어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 90% 이상이 됨에 따라 실내 환경 개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있습니다. 내부에 식물을 도입하여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도입초기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일부 관심이 있는 계층에서만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이미지로 사업적 성과를 높이려는 환경 마케팅과 접목하여 상업공간에서도 적극 도입되고 있습니다. 식물이 실내에 적극적으로 도입됨에 따라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마찬가지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변모하는 생활공간의 기능 식물을 통해 건강과 쾌적성 그리고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생활공간의 기능이 바뀌고 있습니다. 단순한 생활공간 보다는 자연과 인간..

과거와 현대의 유아들의 환경 자연에서 놀 수 있는 기회를 당연하게 빼앗긴 유아들은 TV시청이나 스마트폰 컴퓨터 장난감을 가지고 놉니다. 유아들은 자연스럽게 자연을 멀리하거나 간혹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갖더라도 직접 체험해볼 선택을 하지않으며 더욱 더 매체 속으로 빠져듭다. 매체 속의 다양한 자연의 모습은 기술의 발달로 생생하고 사실적인 묘사로 우리에게 다가오지만 자연 환경에서 마음껏 탐색하고 놀이하며 얻어지는 감각 자극을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자연 속에서 얻어진 다양한 감각을 통해 유아들은 건강하게 자라며 탁 트여진 환경 속에서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지니게 되기 때문입니다. 자연이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 자연은 유아들에게 살아있는 환경이며 스스로 조작하며 직접 경험을 제공해 ..

자연환경에 편안함을 느끼는 인류 오랜 시간 자연환경 속에서 진화해온 인간의 몸은 자연을 접하게 되면 익숙한 공간에 들어간 것 처럼 자연환경에 쉽게 동조되어 쾌적함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인류의 마음속에는 자연에 대한 애정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 마음이 발현되기도 하는데요.자연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역동적인 특성을 지녔으며 그 자체로 심미감과 감각적 즐거움을 줍니다. 자연 속에서 유아는 본성과 원래의 모습이 갖는 가치를 인식하게 되고 자연환경은 감각적 자극의 주된 원천이므로 감각을 이용하여 주변을 탐험하면서 마음껏 놀기도 합니다. 이렇게 탁 트인 자연환경 속에서 놀아야 유아는 건강하게 자랄 수 있고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무한한 능성이 연스럽게 조성됩니다. 자연친화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실내 공기질 문제의 심각성 각종 산업분야에 걸친 에너지 절약 및 효율증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단열을 위한 밀폐화와 에너지 절감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진 건물 수가 증가하면서 공기의 질이 점차 악화되었습니다. 특히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절반 이상을 실내 예를 들면 가정 일반사무실 공공건물 상가 음식점 자동차 지하철 등에서 생활하고 있으므로 실내 공기질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에너지 절약형 건물은 유지 관리비를 줄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공기의 유출입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따라서 자연히 불충분한 환기로 인해 실내공기가 오염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보존을 위해 개발된 새로운 건축자재가 공공건물뿐만 아니라 일반 주택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건축자재에서 의외의 오염물..

오늘날 실내오염물질 오늘날 현대인들은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시대에 이르면서 하루 중 80~95%에 이르는 시간을 한정된 실내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이런 실내공간은 1970년대 초반에 일어난 에너지 파동으로 인하여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환기량을 극히 제한하고 외기의 침입을 극소화시킨 밀폐형 구조로 변화되었으며 그 결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도입량이 최소화되었으며 다양한 건축내장재와 사무용장비 재실자의 활동 등에 의하여 끊임없이 오염물질이 발생되고 있어 실내공기질이 점점 악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 실내오염물질 구분 실내의 오염물질은 재실자의 활동과 흡연 연소기구 건축자재 각종 생활용품 등에서 발생하는 분진 환경담배연기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라돈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

강낭콩 강낭콩은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이며 유럽에서는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에스파냐 사람에 의해 전파되었습니다. 한자로는 채두 또는 운두라고도 합니다. 외관높이는 50cm 정도이며 전체에 털이 있고 줄기는 덩굴성과 곧게 서는 왜성의 구별이 있습니다. 잎은 삼출복엽이고 7~8월에 자주색과 백색 홍색 등의 꽃이 핍니다. 열매는 원통형이거나 좀 납작한 원통형의 꼬투리입니다. 꽃이 진 다음에 맺히는 꼬투리는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길이가 10-20cm이고 안에 타원형 씨가 여러 개 들어 있습니다. 씨는 품종에 따라 붉은색 검은색 붉은색 바탕에 흰색 무늬가 있는 것 등 색깔이 다양합니다. 대나무 벼과 또는 대나무아과에 속하는 상록성 목본인 키큰 풀의 총칭을 말합니다. 식물학 문헌에는 75속..

초등학생들의 생물 분류 개념 초등학생들이 과학과 생명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과서에서는 가급적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이나 동물 종류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학생들은 생물 분류 개념을 학습하기 이전에 이미 주위의 자연환경이나 생활 주변의 경험을 통해 획득한 여러 가지 자기 고유의 분류 개념을 가지고 수업에 임하게 되고 이러한 선개념은 학습과정을 통하여 쉽사리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되지 않습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생물분류의 개념 제7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기존의 중학교에서 다루어지던 생물분류 개념이 초등과학 6학년 주변의 생물 단원에 새롭게 도입되게 되었습니다. 이 단원은 학생들이 관찰을 통해 여러 가지 생물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

나만의 식물 기르기를 통한 원예활동 원예활동이란 유아가 개별적인 식물 기르기 활동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개인 정원을 만들고 그 경험을 이야기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별적인 식물 기르기 활동에서는 유아가 스스로 식물을 선정하고 돌보고 수확하고 활용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이를 바탕으로 자연 그대로의 환경과 잘 어울리고자 하는 성향이 발현되어 동식물에 대한 애호와 관심 및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환경보다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태도를 가집니다. 유아교육 측면에서 바라보는 원예활동 단순히 원예에 초점을 맞춘 원예활동은 꽃과 나무 또는 채소 등을 땅에 심고 물을 주고 거름을 주는 등 식물을 돌보는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아교육의 측면에서 본 원예활동은 식물을 가꾸고 관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