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식물

초등학생들의 식물 분류

하마코끼리리 2023. 11. 7. 21:52

초등학생들의 생물 분류 개념

초등학생들이 과학과 생명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과서에서는 가급적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이나 동물 종류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학생들은 생물 분류 개념을 학습하기 이전에 이미 주위의 자연환경이나 생활 주변의 경험을 통해 획득한 여러 가지 자기 고유의 분류 개념을 가지고 수업에 임하게 되고 이러한 선개념은 학습과정을 통하여 쉽사리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되지 않습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생물분류의 개념

제7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기존의 중학교에서 다루어지던 생물분류 개념이 초등과학 6학년 주변의 생물 단원에 새롭게 도입되게 되었습니다. 이 단원은 학생들이 관찰을 통해 여러 가지 생물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생물의 형질을 기초로 한 과학적인 분류 기준을 세워서 그 기준에 따라 생물들을 무리지워 봄으로써 각 무리의 특징과 무리 간의 유연관계를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초등과학 교육현장에서는 교사들의 생물 다양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그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 등에 의해 많은 초등교사들이 이 단원의 학습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학생들의 식물 분류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도 상당히 낮은 실정입니다.

 

학생들이 식물 분류 개념을 어려워하는 요인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학생 내용의 적합성 여부를 들 수 있습니다. 발달 단계에 맞도록 초등학교에서는 꽃의 유무를 분류 기준으로 삼아 학습 내용을 구성하여야 하고 중학교에서는 내부형태나 꽃의 형태 그리고 씨방의 유무를 고등학교에서는 관다발의 유무 및 기관의 발달 정도 그리고 생식 방법이나 DNA 등을 분류 기준으로 하여 학습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습니다.

 

식물 분류의 필요성

분류하는 작업은 모든 것에 대하여 필요하지만 일반적인 것에 대해서는 인간 생활의 편의상에서 오는 표준에 의하여 실시되는 일이 많습니다. 모든 생물은 수십억 년의 역사의 산물로 생겨난 것이므로 그 진화의 경로에 따라 분류해야한다는 특수한 사정이 있습니다. 형태는 인식하기 쉽고 또한 이것 역시 진화한 결과이므로 예전에는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편의적 인위적으로 분류하는 비과학적인 분류가 주류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형태가 형성되는 순서로서의 발생이 중요시되며 여기에 생리 생태 생화학적 지식 및 유전 경과도 가미하여 자연적 및 계통적으로 분류하는 자연 분류로 기울어지고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식물에 대한 인지도

그리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먼저 식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지도를 조사하고 이들이 식물을 분류할 때 어떤 분류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하는가를 조사하였습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습니다. 1.식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지도는 고학년일수록 높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습니다. 농촌 지역의 학생들은 타 지역의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시기에 많은 식물들을 인지하고 중소도시의 학생들은 이보다 다소 늦은 5~6학년 시기에 식물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도시의 학생들은 시기에 따른 특징을 보이지 않으며 인지도도 타 지역의 학생들 보다 낮았습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의 식물에 대한 인지도는 거주지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2.초등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과학적으로 식물을 분류하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과학적인 분류를 합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들이 대도시나 농촌지역의 학생들보다 더 과학적으로 식물을 분류합니다. 3.2학년과 4학년 학생들은 식물을 분류할 때 각 종이 가지고 있는 형질보다는 식용 여부 등 생활 경험 위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분류 개념을 학습하고 난 뒤에는 1단계 분류의 경우 형질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높아지지만 2단계 분류에서는 여전히 식용 여부와 같은 생활 경험을 위주로 한 분류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6학년의 경우 1단계 분류를 바르게 한 학생은 65.3%에 달했으나 이중 2단계 분류에서 꽃식물의 하위를 바르게 분류한 학생이 17.9% 민꽃식물의 하위를 바르게 분류한 학생이 7.7%에 불과하여 초등학생들의 식물 분류 개념의 형성 정도는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5.초등학생들은 생활에서 잘 접할 수 없거나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 식물 종류에 대해서는 다양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으나 과학 교육과정을 통해 재배와 직접 관찰한 경험이 있는 강낭콩에 대한 오개념은 극히 적었습니다.

 

실험을 마무리하며

그러므로 교재원이나 교실에 학습과 관련된 식물을 재배하고 학생들에게 관찰할 기회를 많이 제공함으로써 초등학생들에게 분류 개념을 바르게 확립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선개념도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